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2016)

덤프버전 :

조의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마스터 (2016)
Master
파일:external/img.movist.com/82_p1.jpg
감독조의석
각본조의석, 김현덕
제작이유진, 백지선
기획
촬영유억, 김정우
조명차상균
편집신민경
동시녹음안복남
음향최태영
미술박일현
음악달파란, 장영규
출연이병헌, 강동원, 김우빈, 엄지원, 오달수, 진경
장르범죄, 액션, 스릴러, 느와르, 하드보일드
제작사영화사집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ENM MOVIE
제작 기간2016년 4월 23일 ~ 2016년 9월 22일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2월 21일
상영 시간143분 (2시간 23분)
월드 박스오피스$51,636,415
총 관객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47,924명
스트리밍파일:TVING 로고.svg | 파일: 왓챠 로고.svg |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국내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마케팅
2.1. 예고편
2.2. 포스터
3. 시놉시스
4. 출연진
5. 평가
6. 흥행
7. 여담



1. 개요[편집]


영화 감시자들을 연출한 조의석의 차기작으로,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의 게이트를 둘러싸고 이를 쫓는 지능범죄수사대와 희대의 사기범, 그리고 그의 브레인까지, 그들의 속고 속이는 추격을 그린 범죄 오락 액션 영화이다.


2. 마케팅[편집]



2.1. 예고편[편집]


1차 예고편

메인 예고편

스페셜 예고편

캐릭터 영상 1편

캐릭터 영상 2편

캐릭터 영상 3편

캐릭터 영상 4편


2.2. 포스터[편집]


파일:9b220a4715fa2158343d6b0dff468f1e34d5cd0a.jpg파일:external/c7c9e17a922aec820844b8535b80202fe7d7bd88e98906f0408e9316a720f6ae.jpg
파일:external/45aec36476a93ddd6682060f3f500e814acc9a841a780ee66f0d42cfc371bf06.jpg
파일:external/8e9af339fa763da4e993f1edef3572670b977a98729f694a79e7bd7ccfff22a6.jpg
티저 포스터런칭 포스터


3. 시놉시스[편집]


"썩은 머리 이번에 싹 다 잘라낸다"
화려한 언변, 사람을 현혹하는 재능, 정관계를 넘나드는 인맥으로 수만 명 회원들에게 사기를 치며 승승장구해 온 원네트워크 ‘진회장’(이병헌). 반년간 그를 추적해 온 지능범죄수사팀장 ‘김재명’(강동원)은 진회장의 최측근인 ‘박장군’(김우빈)을 압박한다. 원네트워크 전산실 위치와 진회장의 로비 장부를 넘기라는 것. 뛰어난 프로그래밍 실력과 명석한 두뇌로 원네트워크를 키워 온 브레인 박장군은 계획에 차질이 생긴 것을 감지하자 빠르게 머리를 굴리기 시작한다.
진회장은 물론 그의 뒤에 숨은 권력까지 모조리 잡기 위해 포위망을 좁혀가는 재명, 오히려 이 기회를 틈타 돈도 챙기고 경찰의 압박에서도 벗어날 계획을 세우는 장군. 하지만 진회장은 간부 중에 배신자가 있음을 눈치채고, 새로운 플랜을 가동하는데…
지능범죄수사대, 희대의 사기범, 그리고 브레인서로 속고 속이는 추격이 시작된다!


4. 출연진[편집]


파일:679f833caa5e20738b8e4397a70e2e54b0af781b.jpg
진현필 (이병헌 扮)

파일:099c8005f411ff971c539e72d62cb71f246ce680.jpg
김재명 (강동원 扮)

파일:274d364b2a2be9e1473ce73e909076d612201950.jpg
박장군 (김우빈 扮)

파일:80b06fd739ad7408081f61b8df9c414839adb3d0.jpg
신젬마 (엄지원 扮)

파일:7661091a19f358d62747327dabbe6e6cf3f17005.jpg
황명준 (오달수 扮)

파일:0ba80a5a4f626d0ee35a1221218e9fc9fb0f48c4.jpg
김미영 (진경 扮)

파일:DSC06280.jpg
안경남 (조현철 扮)

파일:e60c6cffcfa8a132a0208e332fe09b8fa5914e68.jpg
서울지방경찰청장 (정원중 扮)

파일:bb3b2f61e8fd5c0aeec170b23d102e5a51ddf483.jpg
신 선생 (박정자 扮)

파일:3396f0bd37ff6871f595b8ec569c20ddf6dc4528.jpg
벙거지 (박해수 扮)

파일:63a474f25f9b190ed75d57b6dc55e4193ed6f992.jpg
스냅백 (우도환 扮)

[ 단역 펼치기ㆍ접기 ]
  • 이순원 - 지능범죄수사대 팀원 1 역
  • 배정남 - 지능범죄수사대 팀원 2 역
  • 정수교 - 지능범죄수사대 팀원 3 역
  • 김정우 - 지능범죄수사대 팀원 4 역
  • 허형규 - 지능범죄수사대 팀원 5 역
  • 주석태 - 피터 킴 역
  • 몬저 델 로사리오 - 벤저민 역
  • 한창현 - 부장 역
  • 김한종 - 환전남 역
  • 김원식 - 김 비서 역
  • 최광제 - 사채 역
  • 김재철 - 진현필 수행비서 역
  • 장한별 - 고시원 사내 역
  • 이도국 - 원네트워크 회원 1 역
  • 우지이 - 원네트워크 회원 2 역
  • 백송희 - 원네트워크 회원 3 역
  • 송요셉 - 원네트워크 회원 4 역
  • 최지은 - 원네트워크 회원 5 역
  • 김수현 - 원네트워크 회원 7 역
  • 서진 - 원네트워크 회원 8 역
  • 송영학 - 원네트워크 회원 9 역
  • 홍성덕 - 원네트워크 회원 10 역
  • 김진만 - 원네트워크 회원 11 역
  • 권혁준 - 원네트워크 회원 12 역
  • 김금순 - 원네트워크 회원 13 역
  • 조은아 - 원네트워크 회원 14 역
  • 오민정 - 원네트워크 회원 15 역
  • 신정만 - 원네트워크 회원 16 역
  • 박창희 - 원네트워크 회원 17 역
  • 김은주 - 원네트워크 회원 18 역
  • 이승용 - 원네트워크 회원 19 역
  • 최윤빈 - 원네트워크 회원 20 역
  • 김대현 - 원네트워크 남직원 1 역
  • 이동진 - 원네트워크 남직원 2 역
  • 장율 - 원네트워크 남직원 3 역
  • 한우열 - 원네트워크 남직원 4 역
  • 설주미 - 원네트워크 여직원 1 역
  • 조수정 - 원네트워크 여직원 2 역
  • 노영주 - 사채업자 덩치 역
  • 조용재 - 금융정보분석원 직원 1 역
  • 강재은 - 금융정보분석원 직원 2 역
  • 김태훈 - 황명준 비서 역
  • 박상민 - 김엄마 수행 비서 역
  • 김태응 - 기자 1 역
  • 이주빈 - 기자 2 역
  • 이희성 - 기자 3 역
  • 박웅원 - 기자 4 역
  • 김지한 - 허종판 역
  • 김성곤 - 진현필 경호원 1 역
  • 조현수 - 진현필 경호원 2 역
  • 이현수 - 환전소 화교청년 1 역
  • 금강산 - 환전소 화교청년 2 역
  • 이주영 - 환전소 화교청년 3 역
  • 박인규 - 환전소 화교청년 4 역
  • 김성현 - 환전소 화교청년 5 역
  • 박아정 - 홍보팀 직원 1 역
  • 노민아 - 홍보팀 직원 2 역
  • 안지희 - 홍보팀 직원 3 역
  • 오성현 - 황명준 법무법인 MJ 로펌 안내직원 1 역
  • 강지혜 - 황명준 법무법인 MJ 로펌 안내직원 안내직원 2 역
  • 송경철 - YTN 앵커 1 역
  • 이승민 - YTN 앵커 2 역
  • 박서경 - YTN 여기자 역
  • 김병옥 - 그 분 목소리 역 (우정출연)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2016/master|
스코어
없음 / 5.00
비평 별점
없음 / 5.00
관객 별점
3.00 / 5.00
]]
||



파일:movies_r_34_2x.png
별점 3.8 / 5.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3.7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6.7 / 10





파일:야후 키모.png
별점 3.3 / 5.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3.6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62.06% 별점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5162|
기자·평론가
5.77 / 10
관람객
8.65 / 10
네티즌
8.11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5.77 / 10
관람객
8.65 / 10
네티즌
8.11 / 10
]]
평점 8.65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2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5%






파일:TMDB 로고.svg
점수 71%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없음 / 10




파일:MyDramaList_logo.png
별점 8.0 / 10





★★★☆

굳이 현실과 연관하지 않아도 흥미롭게 볼 수 있는

허남웅


★★☆

허공에서 공회전하는 오락영화

이예지


★★★

정의를 실현하는 백마 탄 초인을 믿다니, 얼마나 순진한가'

황진미


★★★

걷어내기의 미덕이 무척 아쉬운.

정지혜


★★★

이병헌의 1대 100

이주현


★★☆

사족이 너무 길다

김성훈


★★★

지금, 이 영화가 그리도 공들여 만들어낸 ‘건국 이래 최대 게이트’는 무척이나 김빠져 보인다

한동원


★★☆

여러 답들을 모아 쓴 오답

이용철


★★☆

알짜배기 100분과 군더더기 42분

박평식


★★★

16부작 미니시리즈를 한 자리에서 본 기분

김혜리


흥행과는 별개로 평가 자체는 무난하거나 아쉽다는 의견이 대다수. 이럴 줄 알고 식의 뒤통수 전개를 남발해서 중반부터 지치게 된다.

씨네21 평론가 평점은 5.57점으로 대체로 평론가들은 5~6점 대 점수를 주었다.

박평식은 "알짜배기 100분과 군더더기 42분"라는 말과 함께 5점을 주었고, 이동진무비썸에서 이 영화를 두고 잔재미를 주려다 큰 재미를 놓친 영화, 중반부터 다시 동력을 끌어올리려는 스토리로 인해 반복되는 이야기 구조를 보는 느낌이라며 별 두 개 반을 주었다.


6. 흥행[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6년 50주차2016년 51주차2016년 52주차
판도라 마스터 마스터
2016년 51주차2016년 52주차2017년 1주차
마스터 마스터 너의 이름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마스터의 손익분기점은 370만 명이다.

개봉 전 이병헌, 강동원, 김우빈 등의 티켓 파워 배우의 출연으로 원래부터 기대감이 있던 영화지만 때마침 터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때문에 포스터에 실린 "건국 이래 최대 게이트!"가 의도적이지 않게 도리어 "이 영화는 최순실 게이트보다 더 큰 사건을 다룰 것입니다"라는 식의 노이즈 마케팅이 되버려[1] 사람들에게 궁금증을 심어 순조로운 흥행 몰이를 했다. 게다가 적절한 시기에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주말마다 부진을 면치 못하던 극장가에 숨통이 트인 것도 호재.

12월 23일, 개봉 3일만에 100만을 돌파했다. 누적 관객수는 118만 명.

12월 24일, 하루 동안 91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여 개봉 4일만에 200만을 돌파했다.

12월 25일, 크리스마스 특수에 힘입어 300만을 돌파했다.

12월 30일, 누적 관객 400만을 동원하는데 성공해 손익분기점을 뛰어넘었다.

2017년 1월 1일, 누적 관객 500만을 돌파했다. 하지만 1월 4일 의외의 복병 〈너의 이름은.〉에 밀려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왔다.

1월 6일, 600만 관객을 돌파했다.

1월 16일 기준, 7,065,484명으로 700만 관객을 돌파했다.


7. 여담[편집]


파일:external/915d196de569f39c9b5b885cb318ddc8b9c378f3f74e68e9a902b5ea81a3f903.jpg







[1] 단 변경된 포스터에는 게이트 관련 문구가 빠졌다.[2] 한글 이니셜부터 ㅈㅎㅍ로 같다.[3] 말미에 진현필이 "(필리핀이 아닌) 태국으로 갈 걸 그랬어. 태국, 태국으로 가는건데.."라며 중얼거리는데 실제로 마스터의 해외 로케이션 장소는 원래 필리핀이 아닌 태국이였다고 한다.

관련 문서